2025년 상반기 고철 시세 전망
- grapplekr
- 1월 23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4월 1일
2025년 상반기 철강 및 고철 시장은 국내 건설경기의 부진, 중국의 경기 부양책 효과, 글로벌 고철 시세 변동 등 환경 속에서 국내 제강사들은 감산과 가격 조정 전략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 요인들을 중심으로 2025년 상반기 고철 시세 전망을 조사해 봤습니다.
2025년 상반기 고철 시세에 영향을 주는 요인 5가지
1. 국내 건설향 철강 수요: 새로운 환경과 도전
2024년 하반기부터 이어진 건설 투자 위축은 철강 수요를 억제하며 시장의 불확실성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요 건설 프로젝트의 연기와 신규 착공 감소는 철근 및 H형강의 수요 감소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025년 1월 기준, 건설향 철강재 소비량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봄철 건설 성수기와 정부의 일부 건설 프로젝트 재개 발표는 신규 수요 창출에 대한 기대감을 제공합니다.
2. 국내 제강사의 철강 및 철근 가격 동향
국내 제강사들은 철근과 H형강 가격 조정을 통해 위의 국내 철강 수요의 불확실성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산 철근(SD400, 10.0mm 기준) 가격은 톤당 71만 원으로 안정화된 상태이며, 2024년 말 기준 톤당 67만 원에서 소폭 상승한 모습입니다. 동국제강은 2월 철근 가격을 톤당 5만 원 인상할 계획이며, H형강 가격도 톤당 3만 원 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3월 성수기 효과로 철근 가격이 톤당 75만 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3. 중국 철강 수요 환경과 부양책 효과
중국의 경기 부양책은 2025년 상반기 철강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 철광석 가격(Fe 62%)은 톤당 100달러를 초과하며 상승세를 보이고 있으며, 철강재 출하량은 전년 대비 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의 이러한 철강 수요 회복 추세는 아시아 철강 시장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줄 가능성이 큽니다.

4. 글로벌 철스크랩 가격 동향
글로벌 철스크랩 가격은 지역별로 상반된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일본과 미국산 철스크랩 가격 약세가 지속되는 반면, 유럽산 철스크랩은 비교적 안정적인 가격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 내 철스크랩 가격은 설 이후 톤당 53만 원 수준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며, 3월 성수기와 중국발 수요 증가가 주요 상승 동력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5. 국내 제강사의 전략
국내 제강사들은 감산과 재고 조절과 가격 인상을 통해 시장 안정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은 감산 기조를 유지하며 출하량과 재고 관리를 통해 가격 방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철근 및 H형강의 가격 인상과 수입산과의 차별화 전략을 통해 수익성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고철 시세 전망 2가지
고철 가격 상승세 전망
2025년 1월, 철스크랩 가격이 톤당 1만 원 이상 상승했습니다. 설 연휴 이후 추가 2만 원 상승 가능성도 예상된다고 분석됩니다. 중국 수요 회복 초입 상황, 제강사의 재고 수준이 역사적으로 낮은 점, 시중 공급이 약화된 점이 주요 원인이며, 봄철 성수기 효과에 따라 3월까지 점진적인 상승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고철 가격 불확실성 전망
건설경기 침체와 부진한 철근 수요 부진이 주요 하방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철근-철스크랩 스프레드 감소로 인해 제강사 수익성 악화 요소로 인해 철 스크랩 가격 상승이 불확실하다는 분석이 있습니다. 또한 미국과 일본산 철스크랩 가격 약세가 추가 상승폭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결론
2025년 상반기 철스크랩 시장은 중국발 수요 증가와 국내 봄철 건설 성수기 효과 그리고 제강사의 재고 감소로 단기적 상승 압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러나 국내 건설경기의 불확실성, 제강사 수익성 악화, 글로벌 고철 가격 약세가 중장기적 요인으로 상승폭을 제한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국내 제강사들은 감산과 가격 인상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고,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려는 노력을 지속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강 업계는 이러한 복합적인 요인들을 고려해 고철 가격에 반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연한 대응 전략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년 국내 고철 비철 스크랩 인상 인하 시세 현황과 앞으로 전망
Comments